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이번에는 서울내에 있는 지역주택조합 성공사례를 살펴볼까 합니다.
최근 2~3년 사이에는 우후죽순으로 지역주택조합이 너무나 많이 생겨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정부에서도 주택법을 개정하기도하며, 조합원들의 재산권을 보장하기 위해서 여러 방침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자 그럼 지금부터 서울권 내에 지역주택조합 성공사례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입주를 완료한 사례라도 추가분담금이 많이 나오는 현장들이 많습니다.
추분이 많이 나오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토지대 입니다. 서울의 경우에는
지방과 달리 작은 땅에 여러 소유자들이 있고, 토지주들은 높은 평당가를 요구합니다.
사업진행을 하기 위해서는 또 비싼 값에 땅을 사기도 하고 있기에, 추분에 대한
큰 리스크가 있습니다. 두번째로 추분이 나오는 경우는 바로 금융이자비용발생입니다.
조합 또는 추진위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며 부동산담보대출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고,
PF를 받기 이전에 사업계획승인 접수 및 승인을 득해야 하는 과정인만큼.
부동산담보대출과 브릿지론을 일으키면서 이에 따른 이자비용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세번째로는 시공사의 평당공사비에 대한 금액입니다.
예를들어, 2018년도에 시공예정사와 MOU를 맺으면서 사업수지가 나오게 됩니다.
이때 당시에는 평당공사비가 200만원이였으나, 사업계획승인접수를 하는 과정에서
총회를 통해 시공사 선정을 하게 됩니다. MOU를 맺은 시공사가 될 수 있고 또는,
조합원들의 다수의결에 따른 시공사가 선정이 되는데 사업 초기와 달리 200만원이였던
평당공사비는 400만원이 될 수 있고, 그 이상이 나올 수 있는 상황입니다.
입주 완료된 지역주택조합 성공사례로는
상도동에 위치한 상도브라운스톤, 효성해링턴플레이스, 두산위브트레지움, 더샵2차, 힐스테이트상도프레스티지
영등포 푸르지오
금호동 롯데, 금호 브라운스톤2차
옥수동에는 옥수어울림, 강변풍림아이원 등이 있습니다.
착공진행중인 지역주택조합 성공사례로는
보라매자이 (동작 트인시아)
자양호반써밋
상도역 롯데캐슬
서울숲2차 아이파크(서울숲벨라듀)
이렇게 보여지고 있습니다.
서울시 내에서 지금 지역주택조합 사업장은 74곳으로 주택법개정이전에 우후죽순으로 생격난곳이
너무나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중에서도 지자체 인가를 받은곳은 27곳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재개발,재건축의 경우에도 사업진행을 하는 과정 및 성공기간은 족히 10년이 넘는 사례들이 많고,
지역주택조합의 경우에도 예정된 사업일정보다 많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서울권내에 지역주택조합 조합원 가입을해서 입주까지 했다면 정말 로또나 다름없으나,
그만큼 성공률은 현저히 낮은 상황이며 10년, 20년 넘게도 아직 진행이 안되는곳들도 많이 있습니다.
특히, 재개발 재건축 규제가 강화되면서 일부 투기꾼 및 실거주 목적을 갖고 있는 분들께서는 지역주택조합에
이목을 끌기도 합니다. 정말 지주택사업 진행히 예정된 사업일정에 따라 된다면 정말 다행이지만, 그게 안되는 곳이
너무나 많이 있으며 지역주택조합 성공사례라도 추가분담금에 대한 압박이 있습니다.
초기 조합원분양가로 계약체결을 하였으나, 사업계획승인을 득하는 과정에서는 기존의 조합원모집가 외에 별도로
추가분담금이 적게는 수천만원대에서 많게는 수억원대까지 불어나고 있습니다.
저렴한 금액으로 내집마련할 수 있는 큰 기회라 생각되는만큼 그 위험리스크도 잘 따져보시고 계약을 하셔야 합니다.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주택조합 조합원 자격 필히 확인해보세요. (4) | 2020.10.12 |
---|---|
지역주택조합 취득세 정보공유 (0) | 2020.10.08 |
지역주택조합 탈퇴시 해결방안. (0) | 2020.10.06 |
지역주택조합의 문제점 및 자격관련에 대한 내용 (0) | 2020.10.05 |
부동산 토지용어 (용적률, 건폐율, 감보율) 알아보기!!! (0) | 2017.01.02 |
댓글